자치구 아동학대전담공무원 (25개) | - 아동학대 신고접수, 현장조사 및 응급보호
- 피해아동, 피해아동의 가족 및 아동학대행위자에 대한 상담·조사
- 아동학대 사례판단(신체적·정신적 등)
- 피해아동보호계획 수립 및 아동보호전문기관 연계
- 피해아동, 그 가족 및 아동학대행위자에 대한 사례관리의 종결
- 아동보호전문기관의 피해아동 등에 대한 사례관리의 지도·감독
- 국가아동학대정보시스템을 통한 아동학대예방사업에 관한 정보의 처리
-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아동학대전담공무원 등에 대한 직무교육·역량강화
|
---|
서울특별시 아동복지센터 (서울시아동보호전문기관) | - 아동학대전담공무원·아동보호전문기관 역량강화교육
- 아동학대예방교육(양육시설 종사자 등)
- 아동학대예방 홍보 및 캠페인
- 아동학대 전담인력 합동연수
- 서울형 아동학대 판단회의 전문위원 인력풀 구축 및 운영
- 지역 아동보호전문기관 및 아동학대 유관기관 협력회의
- 고난도 아동학대 사례 심리서비스 제공
- 아동보호전문기관,쉼터 임상심리치료인력 역량강화지원
- 아동양육시설 임상심리상담원 역량강화지원
- 학대피해아동 심리평가 및 치료
|
---|
지역 아동보호전문기관 (10개) | - 피해아동, 피해아동의 가족 및 아동학대행위자를 위한 상담·치료 교육
- 국가아동학대정보시스템 정보입력에 필요한 자료의 제공
- 아동학대예방·피해아동보호와 관련된 기관간의 연계
- 피해아동 및 피해아동 가정의 기능 회복서비스 제공
- 사후관리
|
---|
아동학대 대응 전담의료기관 (44개) | (광역)- 통합진료 및 다학제적 논의를 통한 수사 자문과 의학적 소견 발급
- 실무자 역량강화 교육, 표준 진료 및 서식 등에 대한 개발 지원
(지역)- 야간·공휴일 학대피해아동의 신속한 의료 지원(ONE-STOP)
- 상담, 신체정신적 치료/검사 및 검진
|
---|